1~3월 제철인 우엉. 아삭항 질감과 풍부한 섬유소를 가지고 있어서 한국인의 식탁에 반찬으로 자주 올라오는 식재료입니다. 또 언제부터인가 우엉은 김밥에도 꼭 들어가는 재료가 되었습니다. 우엉 고르는 방법,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우엉'이란?
▪ 원산지 : 유럽
▪ 분포 : 일본에서 많이 재배하며 유럽, 시베리아, 중국 동북부에 야생.
▪ 품종 : 농야천, 사천 등.
▪ 특징 : 우엉 뿌리는 가늘고 긴 모양으로 길이가 30 ~60cm 정도 되고, 껍질이 얇음.
▪ 모양 : 길쭉한 모양.
▪ 색 :밝은 갈색을 띔.
▪ 칼로리 :100g당 69kcal.
- 좋은 우엉 고르는 법
▪ 우엉 뿌리는 만졌을 때 촉촉한 수분감이 도는 것이 바람이 들지 않은 좋은 우엉이다.
▪ 껍질의 두께는 얇을 수록 좋다.
▪ 겉 모습에 상처가 없고 전체적으로 굵기 차이가 없이 거르게 뻗어 있는 것이 좋다.
▪ 우엉의 양 끝을 잡고 구부려보았을 때 부드럽게 휘어지면 싱싱하다는 것이다.
- 우엉 보관법
1.긴 우엉은 보관이 가능할 만큼의 길이로 자른 후 흙을 제거하지 않고 신문지나 랩으로 싼다.
2.밀봉한 후 냉장고 신선실이나 김치냉장고에 보관한다.
- 우엉의 효능과 부작용
▪ 우엉의 효능
1. 혈당 조절
우엉에는 이눌린이라는 성분이 풍부해 혈당을 안정시키고 당요 예방에 도움을 준다.
2. 항암효과
사포닌이 풍부해 산삼이나 인삼에 비유되기도 하는데, 사포닌은 항암효과와 면역력 강화에 좋다. 특히 우엉의 사포닌에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다.
3. 변비 해소와 대장암 예방
우엉을 자르면 끈적거리는 성분이 나오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때 나오는 성분이 리그닌이라는 성분이다. 리그닌은 불용성 식이섬유로 장애 발암물질은 흡착 해 채외로 배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4. 정력, 피부미용 효과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은 성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인체의 면역체계를 좋게하며 동맥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돕는다. 또한 피부 혈류 기능도 원활하게 해 노화 방지 및 탄력 증대, 세포 조직 성장 유지에도 좋다.
▪ 우엉의 부작용
1. 소화불량
식이 섬유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과도하게 섭취 시 소화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2. 알레르기 반응
일부사람들에게는 우엉에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있으니 처음 섭취시 주의가 필요하다.
'식품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여행의 필수품! 알리페이 이용방법 (0) | 2025.01.20 |
---|---|
밥을 먹으면 졸리는 이유는? (0) | 2025.01.11 |
1월 제철 음식 명태 (0) | 2025.01.09 |
설탕 중독(단맛 중독) 자가 진단 및 설탕 중독 벗어나는 법 (0) | 2025.01.02 |
설탕 중독, 단맛 중독 (0) | 2024.12.30 |
굶어서 다이어트가 될까? (0) | 2024.12.25 |
12월 제철 무 (0) | 2024.12.13 |
채소 건강하게 먹기 (2)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