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4대 채소 중 하나가 '무'이다. 가을에 재배되오 겨울 내내 먹는 가을무는 달콤한 맛과 아삭아삭한 식감으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무생채나 나물로 먹거나 생선조림, 국 등에 넣어 먹기도 하는 무. 좋은 무 선택법, 무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 '무'란?
▪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전해지고,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전해짐.
▪ 품종 : 월동무, 봄무, 총각무, 열무, 일본무 등
▪ 특징 : 여름부 재배는 해발 600m 이상 되는 고랭지에서 가능하고 보통은 가을무 재배가 주종을 이룸.
▪ 모양 : 타원형의 모양
▪ 색 : 아래쪽은 하얗고 무청 쪽으로 갈수록 연둣빛을 띰.
▪ 맛 : 알싸하면서도 달콤한 맛.
- 좋은 무 고르는 법
▪ 하얗고 윤기가 있는 것을 선택한다.
▪ 매끈하고 상처가 없는 것을 선택한다.
▪ 초록색을 띠는 무청이 달린 무가 싱싱하다.
▪ 배추를 들어보았을 때 크기에 비해 묵직한 것이 좋다.
- 무 보관법
▪ 잎을 잘라내고 흙이 묻은 상태로 랩이나 종이에 싼 후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 저장한다.
▪ 흙속에 묻어두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 무의 효능과 부작용
▪ 무의 효능
1. 다이어트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준다. 또 식이 섬유가 장운동을 촉진해 변비를 개선하고 장질환도 예방한다.
2. 항염작용
무에 함유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라는 화합물이 몸의 염증을 줄이고,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여 항암과 항염 작용을 한다.
3. 면역력강화
비타민 C및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염증반응과 감염을 줄여주어 면역력을 강화한다.
4. 혈압 조절
무는 칼륨 함량이 높아 체내 나트륨 배출을 촉진시켜 혈압을 조절하고, 고혈압을 예방한다.
▪ 무의 부작용
1. 소화불량
식이 섬유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과도하게 섭취 시 소화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2. 저혈압인 사람은 주의
무가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저혈압인 사람은 과다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식품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탕 중독(단맛 중독) 자가 진단 및 설탕 중독 벗어나는 법 (0) | 2025.01.02 |
---|---|
1월 제철 우엉 (0) | 2025.01.01 |
설탕 중독, 단맛 중독 (0) | 2024.12.30 |
굶어서 다이어트가 될까? (0) | 2024.12.25 |
채소 건강하게 먹기 (2) | 2024.12.07 |
배추 요리 3가지 (0) | 2024.11.23 |
11월 제철 배추 (3) | 2024.11.19 |
'감홍', '부사' 제철 (0)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