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품영양학62

설탕 중독, 단맛 중독 우리가 먹는 음식에는 설탕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특히 음료에는 20~30개 정도의 각설탕이 들어있어 하루에 한캔만 마셔도 너무 많은 설탕이 우리 몸에 들어오게 됩니다. 도대체 왜 우리는 이렇게 달달한 맛에 열광을 넘어 중독까지 될까요?  - 단맛은 나쁜 것일까?단맛을 결정하는 당분은 기본적으로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원입니다. 두뇌 활동에 꼭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세포, 근육, 체온 유지 등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에너지원으로 쓰이죠.  당류의 종류 중  과일이나 곡물 등에 들어 있는 다당류는 우리 몸에 들어와 분해하고 흡수하는 속도가 느린 복합당질입니다. 복합당질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인슐린 분비와 혈당 조절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해 줍니다.- 그렇다면 왜 당.. 2024. 12. 30.
굶어서 다이어트가 될까? 평생해야할 우리의 숙제는 다이어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내 몸무게가 많이 나간다면 몸무게를 줄이기 위해, 또 내 몸무게가 만족스럽다면 지금의 몸무게를 유지하기 위해 다이어트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분들이 많이십니다. 단시간에 살을 빼고 싶어하는 많이 사람들이 하고 있는 굶는 다이어트. 과연 살이 빠질까요?    -굶는다고 살이 빠질까? 우리가 배고픔을 느끼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우리 몸이 장기적으로 배고픈 상태가 되면 몸은 위험한 기아상태로 인식을 하고 행동에 나섭니다. 바로 이때 우리몸의 생존본능이 발휘하게 됩니다. 음식을 먹게 될 기회가 있으면 필요 이상으로 먹게 된다는 말입니다. 또 다시 기아상태가 올 것을 대비해서 저축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전쟁이 끝난 뒤 과식으로 죽게 된 사람들.. 2024. 12. 25.
12월 제철 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4대 채소 중 하나가 '무'이다. 가을에 재배되오 겨울 내내 먹는 가을무는 달콤한 맛과 아삭아삭한 식감으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무생채나 나물로 먹거나 생선조림, 국 등에 넣어 먹기도 하는 무. 좋은 무 선택법, 무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 '무'란?▪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전해지고,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전해짐.▪ 품종 :  월동무, 봄무, 총각무, 열무, 일본무 등▪ 특징 : 여름부 재배는 해발 600m 이상 되는 고랭지에서 가능하고 보통은 가을무 재배가 주종을 이룸.▪ 모양 : 타원형의 모양▪ 색 : 아래쪽은 하얗고 무청 쪽으로 갈수록 연둣빛을 띰.▪ 맛 : 알싸하면서도 달콤한 맛. - 좋은 무 고르는.. 2024. 12. 13.
채소 건강하게 먹기 채소가 몸에 좋다는 것은 현대인들은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하루에 채소를 얼마큼 먹어야 하는지, 또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떤 채소를 몇 g, 몇 개를 먹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면 이제는 색깔로 먹어보자. ◼ 채소를 나누는 일곱가지 색  - 빨강 ▫ 리코펜 :  항산화력이 강하다는 베타카로틴의 10배, 비타민의 E의 100배에 달할 정도로 강한 항산화력을 자랑한다.     (대표채소는 토마토, 수박) ▫  양파, ㄴ 캡사이신 : 리코펜보다 더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혈액 순환을 돕고 대사를 증진하며 체지방 연소를 촉진한다.      (대표채소 : 고추) - 노랑   ▫ 플라보노이드 : 항산화 작용은 물론 비타민C 흡수를 촉진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한다.      .. 2024. 12. 7.